
이는 2025년 대비 6.51% 인상된 수치로, 역대 최고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제도의 핵심 지표로 사용되며, 각종 급여의 선정 기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건복지부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정리해드립니다.
1인 가구 기준 7.2% 인상… 수급 대상 확대 기대
1인 가구의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256만 4,238원으로, 전년 대비 7.2% 인상되었습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1인 가구 비율이 약 74%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조정은 매우 의미 있는 변화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생계급여, 의료급여 등 핵심 복지제도의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가구원수 | 2025년 | 2026년 |
1인 | 2,392,013명 | 2,564,238명 |
2인 | 3,932,658명 | 4,199,292명 |
3인 | 5,025,353명 | 5,359,036명 |
4인 | 6,097,773명 | 6,494,738명 |
5인 | 7,108,192명 | 7,556,719명 |
6인 | 8,064,805명 | 8,555,952명 |
생계급여 선정기준 상승… 실질 지원 확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상승에 따라 생계급여의 선정기준도 함께 인상되었습니다.
1인 가구 기준으로는 82만 556원, 4인 가구 기준으로는 207만 8,316원이 적용됩니다.
이는 각각 5만 원 이상, 12만 원 이상 오른 수치로, 보다 많은 국민이 기초생활보장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구분 연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가구원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생계급여 (중위 32%) | 2026년 | 820,556 | 1,343,773 | 1,714,892 | 2,078,316 | 2,418,150 | 2,737,905 |
2025년 | 765,444 | 1,258,451 | 1,608,113 | 1,951,287 | 2,274,621 | 2,580,738 | |
의료급여 (중위 40%) | 2026년 | 1,025,695 | 1,679,717 | 2,143,614 | 2,597,895 | 3,022,688 | 3,422,381 |
2025년 | 968,805 | 1,573,063 | 2,011,141 | 2,439,109 | 2,843,277 | 3,225,922 | |
주거급여 (중위 48%) | 2026년 | 1,230,834 | 2,015,660 | 2,572,337 | 3,117,474 | 3,627,225 | 4,106,857 |
2025년 | 1,148,166 | 1,887,676 | 2,412,169 | 2,926,931 | 3,411,932 | 3,871,106 | |
교육급여 (중위 50%) | 2026년 | 1,280,119 | 2,099,646 | 2,679,518 | 3,247,369 | 3,773,860 | 4,278,976 |
2025년 | 1,196,007 | 1,965,329 | 2,518,677 | 3,048,887 | 3,558,406 | 4,032,403 |
기준 중위소득 연계 급여 비율은 유지
2026년도에도 각 급여별 기준 중위소득 대비 비율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2%,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8%, 교육급여는 50% 수준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자체가 인상된 만큼, 수급 가능 대상자 역시 자연스럽게 확대됩니다.
자동차재산 기준 완화로 수급 문턱 낮춰
2026년부터는 자동차재산 평가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수급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기존에는 차량 소유로 인해 수급에서 제외되던 사례가 많았으나, 승합·화물차, 다자녀 가구를 중심으로 재산 환산 기준이 조정되었습니다. 차량가액의 일부만 소득으로 인정하는 방식이 확대 적용됩니다.
의료급여 본인부담 기준 유지… 일부 관리 강화
2026년 의료급여 제도에서는 본인부담 기준이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다만 연간 외래진료 횟수가 365회를 초과하는 경우 30%의 본인부담률이 적용됩니다. 이는 과다 이용 방지를 위한 조치이며,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한 제도 전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조정입니다.
주거급여·교육급여도 현실화 반영
주거급여는 2026년 기준임대료가 지역별로 1.7만 원에서 3.9만 원 인상되며,
교육급여는 초등학교 50만 2,000원, 중학교 69만 9,000원, 고등학교 86만 원으로 책정되어 연 평균 약 6% 인상됩니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 상승에 따라 교육·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교육급여 정리>
구분 | 25년 지원금액 | 26년 지원금액 | 전년 대비 |
초 | 487,000원 | 502,000원 | +15,000 (+3.0%) |
중 | 679,000원 | 699,000원 | +20,000 (+3.0%) |
고 | 768,000원 | 860,000원 | +92,000 (+12.0%) |
청년 근로소득 공제 대상 확대
근로소득을 인정받는 청년층에게는 추가적인 혜택이 적용됩니다. 기존에는 29세 이하 청년에 한해 공제가 적용되었으나,
2026년부터는 34세 이하까지로 확대됩니다. 추가 공제 금액도 60만 원으로 상향되어 자활 여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조정되었습니다. 이 역시 기준 중위소득 상승과 맞물린 제도 개선입니다.
마무리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은 단순한 수치 변화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양한 복지제도의 수급 문턱을 낮추고, 정책 사각지대를 줄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변화된 기준과 제도 개선 내용을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신다면, 보다 안정적인 생활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